Minsu KIM     김민수

The Child's Language     아이의 언어
26 Nov - 27 Dec, 2025
A child’s language is irregular rather than orderly, at times stitching together fragments of the world as though they were pieces of a game, unbound by narrative. This language lies closer than speech, slower than concepts, and is conveyed through the slightest sensations, much like a glance or a gesture. The lines and colours in the drawings presented in The Child’s Language seem to arise not from a stream of consciousness but from the body’s own sensibility—and perhaps this is why. Lines that glide across the paper, a manner that refuses to erase even chance or hesitation. As the artist notes, seeing “crumpled paper as a flower, and torn paper as ripples” signals a shift in perception—one that receives materiality and gesture as a form of dialogue.

Minsu KIM’s drawings, then, pose a question about language—yet it appears to be a language not of grammar or semantics. It is, rather, the act of learning to sense the world before attempting to speak it, as a child does. And the act of allowing that sensation to remain in its pre-verbal state. The works in this exhibition record precisely that place—where the beginning and dissolution of language coexist—in the medium-bound gesture of drawing. The artist does not shy away before the surface; instead, she accepts hesitation itself as a fine, compact stratum of time within the drawing. These lines do not advance towards a purpose but linger lightly and incompletely.

The Child’s Language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adult and child, word and image, line and narrative, ultimately exploring how our attitude towards the world might begin anew. Here, drawing is not merely a picture but something closer to a field of sensation—an entity ready to shift in speed or direction, ready at any moment to change. Minsu KIM’s drawings reveal this potential for change in a quiet yet lucid manner. The child sometimes wishes that I, too, become a child, even setting tasks for me, yet the place where we meet is something like this: as with a child’s language, it reaches us without explanation, arriving before speech and touching the heart first.
아이의 언어는 질서를 따르기 보다는 불규칙하고, 때로는 서사 없이 세계의 파편을 하나의 놀이처럼 이어 붙인다. 이 언어는 말보다 가깝고, 개념보다 느리며, 눈빛과 몸짓처럼 미세한 감각과 함께 전달된다. 《아이의 언어》에 선보이는 드로잉의 선과 색이 의식의 흐름이 아니라 몸의 감각에서 비롯된 것처럼 보이는 이유도 여기에 있을 테다. 종이 위에서 미끄러지듯 지나가는 선, 우연함과 망설임 마저도 지워내지 않은 태도. 작가가 말하듯, “구겨진 종이를 꽃처럼, 찢어진 종이는 물결처럼” 바라보는 관점은 작품을 구성하는 물질성과 몸짓을 일종의 대화로 받아들이는 감각의 전환을 보여준다.

김민수의 드로잉은 즉 언어에 관한 질문을 던진다. 그러나 그 언어는 문법이나 의미론의 차원이 아닌 듯하다. 아이처럼, 세계를 말하기 전에 먼저 감각하는 법을 배우는 일. 그리고 그 감각을 말이 되기 전의 상태로 머물게 하는 일. 이번 전시의 작업들은 바로 그 자리, 언어의 시작과 소멸이 동시에 존재하는 가장 여리고 열린 지점을 드로잉이라는 매체적 몸짓으로 기록한다. 작가는 화면 앞에서 망설이지 않으며 오히려 그 망설임을 드로잉이라는 작지만 촘촘한 시간의 층위로 받아들인다. 이 선들은 목적을 향해 나아가기보다 가볍고 불완전하게 머무른다.

《아이의 언어》는 어른과 아이, 말과 이미지, 선과 서사 사이의 경계를 흐리며, 결국 우리가 세계를 대하는 태도가 어떻게 다시 시작될 수 있는지 탐색한다. 여기서 드로잉은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속도와 방향을 바꿀 준비가 되어 있는 존재, 언제든 변할 준비가 되어 있는 감각의 장에 가까울 것이다. 김민수의 드로잉은 그 변화의 가능성을 조용하고도 명료한 방식으로 보여준다. 아이는 가끔 나도 아이가 되기를 바라고 나에게 숙제도 주지만 결국 우리가 만나는 곳은 이렇게, 아이의 언어가 그러하듯, 설명 없이도 도달하며 말보다 앞서 우리의 마음에 닿는다.